방패자리 델타형 변광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방패자리 델타형 변광성은 방패자리 델타별을 대표로 하는 맥동 변광성의 일종이다. 이들은 주기와 진폭, 분광형, 맥동 메커니즘 등의 특징을 가지며, 초기 발견 및 현대 연구를 통해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주요 변광성 목록과 추가 예시를 통해 방패자리 델타형 변광성의 특성을 보여준다. 한국 천문학계에서도 이 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방패자리 델타형 변광성 - 베가
베가는 거문고자리에서 가장 밝고 밤하늘에서 다섯 번째로 밝은 푸른색 주계열성으로, 태양보다 질량과 밝기가 훨씬 크며, 빠르게 자전하는 특징과 별 주위의 먼지 원반, 그리고 동아시아의 직녀성으로 알려져 있다. - 방패자리 델타형 변광성 - 알타이르
알타이르는 독수리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이자 알파 아퀼라에로 표기되며, 아랍어에서 유래한 이름과 견우성이라는 동양 이름으로 불리고, 지구에서 16.8광년 떨어져 빠르게 자전하는 A형 주계열성으로 찌그러진 회전 타원체 모양을 하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미와 상징을 지니고 현대 사회에서도 활용된다. - 항성물리학 - CNO 순환
CNO 순환은 별 내부에서 탄소, 질소, 산소를 촉매로 사용하여 수소를 헬륨으로 변환하는 핵융합 과정으로, 높은 온도에서 대질량별의 주요 에너지원으로 작용하며, 온도에 민감하고 여러 변형이 존재하며 항성 진화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항성물리학 - 양성자-양성자 연쇄 반응
양성자-양성자 연쇄 반응은 태양과 같은 저질량 항성의 주요 에너지원인 핵융합 과정으로, 여러 단계를 거쳐 양성자가 헬륨으로 변환되며 감마선과 중성미자를 방출한다. - 변광성 - 세페이드 변광성
세페이드 변광성은 주기적인 밝기 변화와 주기-광도 관계를 통해 우주 거리 측정에 활용되는 별로, 고전 세페이드와 II형 세페이드로 나뉘며 헬륨 이온화에 의한 맥동 현상을 보인다. - 변광성 - 마차부자리 SU
마차부자리 SU는 추가 정보가 필요한 천체로, 구체적인 특성 및 분류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아 학계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하지 못하고 있다.
방패자리 델타형 변광성 | |
---|---|
특징 | |
유형 | 맥동 변광성 |
스펙트럼 유형 | A2-F8 |
광도 계급 | III-V |
질량 | 1.5-2.5 M☉ |
반지름 | 1.5-2.5 R☉ |
주기 | 0.01-0.2일 |
광도 변화 | 0.003-0.9 등급 |
설명 | |
방패자리 델타형 변광성 | 분광형 A2형에서 F8형 사이의 거성 또는 주계열성이다. |
맥동 | 이 별들은 헬륨의 핵융합으로 인한 κ-메커니즘에 의해 맥동한다. |
위치 | 이 변광성들은 헤르츠스프룽-러셀 다이어그램에서 세페이드 스트립이 주계열성과 교차하는 지점에서 발견된다. |
주기-광도 관계 | 많은 방패자리 델타형 별들은 잘 정의된 주기-광도 관계를 나타낸다. |
거리 측정 | 이 관계를 사용하여 성단과 은하의 거리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
진폭 | 방패자리 델타형의 진폭은 0.003~0.9등급이다. |
맥동주기 | 맥동주기는 0.01~0.2일(1.2시간~4.8시간)이다. |
항성종족 | 이 별들은 항성종족 I에 속하는 금속이 풍부한 별이다. |
질량 | 질량은 1.5~2.5 태양 질량이다. |
나이 | 나이는 태양의 나이와 거의 같다. |
변광성 | 베가 조차도 약간의 변광성을 보이는 것으로 의심된다. |
하위 유형 | |
고진폭 방패자리 델타형 변광성 (HADS) | 0.3 등급보다 큰 진폭을 가진다. |
봉황자리 SX형 변광성 | 종족 II 별이다. |
전형적인 별 | 방패자리 델타 |
2. 주요 특징
2. 1. 물리적 특징
2. 2. 변광 주기 및 진폭
2. 3. 분광형
2. 4. 맥동 메커니즘
3. 연구 역사
3. 1. 초기 발견
3. 2. 현대 연구
4. 예시
명칭(이름) | 발견 | 최대[10] (겉보기 등급) | 최소[10] (겉보기 등급) | 등급 범위 | 주기 | 분광형 | 설명 |
---|---|---|---|---|---|---|---|
γ 보오티스 | 3.02 | 3.07 | 0.05 | 6.96 시간 | A7III | ||
ε 세페우스 | 4.15 | 4.21 | 0.06 | 0.98 시간 | F0IV | ||
HD 40372 | 5.88 | 5.92 | 0.04 | 1.466 시간 | A5me | 식쌍성계에 속함 | |
α 라이라 (베가) | −0.02 | 0.07 | 0.03 | 2.57 시간 | A0Va | 밤하늘에서 다섯 번째로 밝은 별 | |
HR 1170 | 5.77 | 5.91 | 0.14 | 2.39 시간 | A9IV | ||
δ 방패자리 | 4.60 | 4.79 | 0.19 | 4.65 시간 | F2 IIIp | 원형 | |
V701 남쪽왕관자리 | Lampens & Rufuen (1990) | 5.69 | 5.73 | 0.04 | 3.25 시간 | F2 III/IV | |
QQ 망원경자리 | Kurtz (1982) | 6.53 (파란색) | 6.58 (파란색) | 0.05 | 1.52 시간 | F2 IV | |
다른 예로는 σ 옥탄자리와 β 카시오페이아가 있다.
4. 1. 주요 변광성 목록
wikitable명칭(이름) | 발견 | 최대[10] (겉보기 등급) | 최소[10] (겉보기 등급) | 등급 범위 | 주기 | 분광형 | 설명 |
---|---|---|---|---|---|---|---|
γ 보오티스 | 3.02 | 3.07 | 0.05 | 6.96 시간 | A7III | ||
ε 세페우스 | 4.15 | 4.21 | 0.06 | 0.98 시간 | F0IV | ||
HD 40372 | 5.88 | 5.92 | 0.04 | 1.466 시간 | A5me | 식쌍성계에 속함 | |
α 라이라 (베가) | −0.02 | 0.07 | 0.03 | 2.57 시간 | A0Va | 밤하늘에서 다섯 번째로 밝은 별 | |
HR 1170 | 5.77 | 5.91 | 0.14 | 2.39 시간 | A9IV | ||
δ 방패자리 | 4.60 | 4.79 | 0.19 | 4.65 시간 | F2 IIIp | 원형 | |
V701 남쪽왕관자리 | Lampens & Rufuen (1990) | 5.69 | 5.73 | 0.04 | 3.25 시간 | F2 III/IV | |
QQ 망원경자리 | Kurtz (1982) | 6.53 (파란색) | 6.58 (파란색) | 0.05 | 1.52 시간 | F2 IV | |
다른 예로는 σ 옥탄자리와 β 카시오페이아가 있다.
4. 2. 추가 예시
명칭(이름) | 발견 | 최대[10] (겉보기 등급) | 최소[10] (겉보기 등급) | 등급 범위 | 주기 | 분광형 | 설명 |
---|---|---|---|---|---|---|---|
γ 보오티스 | 3.02 | 3.07 | 0.05 | 6.96 시간 | A7III | ||
ε 세페우스 | 4.15 | 4.21 | 0.06 | 0.98 시간 | F0IV | ||
HD 40372 | 5.88 | 5.92 | 0.04 | 1.466 시간 | A5me | 식쌍성계에 속함 | |
α 라이라 (베가) | −0.02 | 0.07 | 0.03 | 2.57 시간 | A0Va | 밤하늘에서 다섯 번째로 밝은 별 | |
HR 1170 | 5.77 | 5.91 | 0.14 | 2.39 시간 | A9IV | ||
δ 방패자리 | 4.60 | 4.79 | 0.19 | 4.65 시간 | F2 IIIp | 원형 | |
V701 남쪽왕관자리 | Lampens & Rufuen (1990) | 5.69 | 5.73 | 0.04 | 3.25 시간 | F2 III/IV | |
QQ 망원경자리 | Kurtz (1982) | 6.53 (파란색) | 6.58 (파란색) | 0.05 | 1.52 시간 | F2 IV | |
5. 한국 천문학계의 연구
5. 1. 주요 연구 기관 및 연구자
5. 2. 연구 성과
5. 3. 향후 연구 과제
참조
[1]
웹사이트
Light Curve
https://www.cosmos.e[...]
ESA
2022-02-17
[2]
간행물
The Distance to the Galactic Center
[3]
간행물
A δ Scuti Distance to the Large Magellanic Cloud
[4]
간행물
Anchoring the Universal Distance Scale Via a Wesenheit Template
[5]
간행물
Deep Infrared ZAMS Fits to Benchmark Open Clusters Hosting delta Scuti Stars
[6]
간행물
The Optical Gravitational Lensing Experiment. The OGLE-III Catalog of Variable Stars. VI. Delta Scuti Stars in the Large Magellanic Cloud
[7]
간행물
SX Phoenicis period-luminosity relations and the blue straggler connection
[8]
간행물
High-amplitude δ-Scutis in the Large Magellanic Cloud
[9]
웹사이트
On the Variability of Vega
http://www.konkoly.h[...]
Commission 27 of the I.A.U
1989-03-17
[10]
문서
'(apparent visual magnitude''
[11]
간행물
[12]
간행물
The observation of Delta Sct and Gamma Dor stars by using MONS satellit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